728x90
반응형

활동전위 3

활동전위와 심근 수축의 연결(Excitaion-contraction coupling)

심근 수축 세포 내 칼슘통로(L-형 Ca2+이온 통로) 대부분은 T-관(T-tubule)에 존재한다. 활동전위(Action potential)가 심근세포의 근형질막(sarcolemma)를 따라 전파되어 T-tube에 도달하면 탈분극(depolarize)된 심근세포의 근형질막(sarcolemma)에 존재하는 칼슘통로(L-형 Ca2+이온 통로)가 활성화 되어 칼슘이 심근세포 내로 유입된다.(Phase2) 이렇게 유입된 칼슘은 근처 근소포체(Sarcoplasmic reticulum,SR) 바로 측면 막에 있는 *라이아노딘 Ca2+ 유리 이온 통로가 열리게 하여 더 많은 칼슘을 유리한다. 칼슘으로 유도되는 칼슘유리(Ca2+ induced Ca2+release)라고 불리는 이러한 방식에 의해 세포 외에서 세포질로..

심장세포의 활동전위(Non-pacemaker cardiac cells action potential)

심장 수축세포에서의 활동전위는 동방결절의 전위와 같이 결절 간 조율세포에 의해 생기긴 하지만 이온 투과 기전뿐만 아니라 모양도 많이 다르다. 이 활동 전위는 4개의 시기로 나눠진다. 0기(phase 0) : 세포가 전압의 역치에 도달하면 빠른 탈분극(혹은 활동전위 상승)이 일어나는 시점 1기(phase 1) : 활동전위 상승이 끝난 후 짧게 발생하는 재분극 시점 2기(phase 2) : 천천히 발생하는 재분극(활동전위 고원기) 시점 3기(phase 3) : 빠른 (마지막)재분극 시점 4기(phase 4) : 이완기 전위(안정막 전위) 0기 : phase 0 활동전위 상승 시점 (Action potential upstroke) 외부 Na+이온 세포내로 유입 활동전위 초기 단계에서 막전위가 -65mV정도의 ..

심장의 전기적 활동_Cardiac Pacemaker Action Potential

심박 조율기의 활동전위는 1. 심박 조율기 전위(pacemaker potential) 2.활동전위(action potential)로 분류할 수 있다. 1. 심박 조율기의 조율기 전위 - 신경세포나 골격근 세포는 자극이 주어지지 않으면 휴지기 전압을 나타내지만, 심장의 자동조율세포들은 휴지기 전압을 갖지 않는다. 대신 조율기 활성(pacemaker activity)을 스스로 만드는데 이는 다시 말해 세포막의 전압이 활동전위 사이에 자동적으로 서서히 탈분극되어 활동전위 역치에 도달하는 현상이다. ★조율기 전위(pacemaker potential)란? 조율기 세포(pacemaker cell)의 막전위가 천천히 역치 수준에 도달하는 것이다. (자극없이 자동으로) 반복적인 탈분극과 흥분(fire)을 통해 자동조율..

728x90
반응형